은갱스 개발 라이프
A weblog by eunkyung, a programmer working in Seungnam City, about software and life.
-
React Native Project 생성하기
React Native 실전: Hello World 루트 컴포넌트 등록 AppRegistry.registerComponent(appName, () => FoodHome); 앱 이름이 StudyRN 이고 FoodHome를 루트 컴포넌트로 설정하라고 리액트 네이티브에게 지시한다. AppRegistry.registerComponent의 호출은 앱마다 한 번만 하면 된다. 그외에 모든 컴포넌트는 FoodHome에 포함될 자식 컴포넌트가 되기 때문. React를 임포트 하는 이유 리액트 네이티브 패키저는 ES2015나 ES2016 코드를 ES5로...
-
RX Java - Intro
리액트 프로그래밍 리액트 프로그래밍이란 데이터가 변경되었을 때 연관되는 함수나 수식이 업데이트되는 방식을 말한다. 명령형 프로그래밍 방식: 변경이 발생했다는 통지를 받아서 새로 계산을 당겨오는 방식 (pull 방식) 리액트 프로그래밍 방식 : 데이터 소스가 변경된 데이터를 밀어주는 방식(옵저버 패턴과 비슷) (push 방식) 즉 내가 어떤 기능을 직접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에 어떤...
-
Dagger
Dagger 입문 회사에서 팀이동을 하며 새로운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되었다. 새로운 프로젝트에는 mvvm과 dagger를 사용한다고 하여 새로 공부를 하며 정리를 해볼까 한다. Dagger Dagger : Java 주석을 기반으로하는 컴파일 타임 JSR-330 종속성 주입 프레임 워크. Dependency injection(DI) 의존성 주입(dependency injection)이란? Dependency Injection (Inversion of Control 또는 IoC라고도 함)은 주어진 클래스가 의존하는...
-
React Native 기본 이론
리액트 네이티브를 안한지 한 2년정도 된 것 같다. 예전 회사에서 리액트 네이티브를 1년(?)좀 안되게 하다가 네이버로 이직 후 코틀린으로만 안드로이드를 개발하다보니 리액트 네이티브를 거의 다 까먹은 것 같다. 이렇게 다시 리액트 네이티브를 스터디하게 되니 또 새롭다. 물론 실 업무에서 사용하게 되지는 않겠지만 회사사람들이랑 스터디를 시작하여 정리해볼까 한다. 일단, 지금까지 서버나...
-
TDD
Effective Unit Testing